필승!
먹어말어할땐먹어입니다.
오늘은 지난 번 와인 용어 (포도, 와인의 종류 등등)에 이어서,
[와인 공부] 와인 용어 이해하기 1편 - 이 정도만 알아도 아는 척 가능(포도 품종, 와인라벨 글자��
와인은 같은 브랜드라도 모두 다르고, 사람마다도 다르다. 따라서 느낌을 이해해야 한다. 와인을 공부하기 전에 알아둬야 하는 사실이라고 합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여러분들처럼 저도 얼마 전
codeat.tistory.com
테이스팅 단계를 비롯한 추가적인 용어들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22. 와인 테이스팅 (3단계)
1) 색: 무슨 색인지?
- 레드 와인
퍼플, 블루, 루비, 갸넷, 벽돌, 자주, 주황
- 화이트 와인
투명에 가까운 노랑, 연노랑, 노랑, 짙은 노랑, 황금
- 로제 와인
분홍, 체리, 연어, 오렌지
2) 향 (아로마, 부케): 어떤 향이 나는지?
오크 스파이시, 허브, 꽃, 꿀, 익은 과일,
열대 과일, 살구, 복숭아, 배 과일, 초콜릿, 짚 등
3) 맛: 어떤 맛이 나는지?
- 스위트 정도 (달콤한 정도)
- 드라이 정도 (입안이 텁텁한 느낌. 혀가 조이는 듯한 느낌을 의미한다)
- 바디감 정도 (Light? Medium? Full?)
(알코올 함량이 높을수록 바디감이 높은 편)
- 산도 정도
23. 와인 병 크기
1) 매그넘
1.5L 와인병을 의미 (일반 와인병의 2배)
2) 하프 보틀
375ml 와인병을 의미 (일반 와인병의 절반)
24. 스크류 캡
일반 음료수 병 음료 방식 (돌려 여는 방법)
25. 디캔팅, 디캔터
디캔팅은 와인을 디캔터에 붓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와인의 침전물을 분리하고 산소와 와인을 접촉하게 하여 부드럽게 한다.
특히 드라이한 와인 속의 타닌이 산소와 만나 부드러워지도록 유도하고,
오래 숙성된 와인에 생긴 침전물을 제외하고 디캔터에 와인을 부어,
침전물을 먹지 않도록 하는 이유도 있다.
26. 와인 버킷
와인을 시원하게 유지할 수 있는 양동이나 용기를 의미함.
27. 와인 쿨러
와인 쿨러는 두 가지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1) 와인을 차갑게 유지하는 기구 (와인 냉각용 용기)
2) 와인을 베이스로 한 레시피가 정해지지 않은 칵테일 (와인에 주스, 얼음, 소다수 등을 넣어 만든 칵테일)
28. 와인 온도
1) 와인 보관
상하지 않도록 (보통 레드 와인 13-16, 화이트 와인 7-10)
2) 와인 음용 온도
와인은 온도에 따라 맛이 천차만별이므로 알맞은 온도로 서빙(마시기)해야 함.
29. 와인 잔
입술이 닿는 곳을 림 (Rim) (립(Lip)이라고도 함)
몸통 부분을 보울 (Bowl)
손으로 잡는 기다란 부분을 스템 (Stem)
와인 잔의 가장 아랫부분을 베이스 (Base)
신기하게도 잔의 종류에 따라 맛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부르고뉴 잔은 향이 좋은 와인들을 위한 잔이고,
플루트 잔은 샴페인 등의 스파클링 와인을 잘 마시기 위한 잔 등
목적에 맞는 와인잔을 선택해서 마셔야 한다.
이외에도 보르도 잔, 화이트 와인 잔, 포트 와인 잔 등 다양하다.
30. 스월링 (Swirling)
와인을 잔에 따른 후 돌리는 행동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공기와 많이 접촉하여
와인 특유의 향을 발산시킬 수 있다.
31. 페어링 (Pairing)
와인과 음식을 짝지어 주는 것.
와인마다 어울리는 음식들이 있는데,
이를 어울리게 매치해 주는 것을 의미한다.
32. 마리아주(Mariage)
음식과 와인의 조합이 좋은 것을 말함.
33. 하우스 와인
레스토랑에서 한 잔 단위로 파는 와인
레스토랑의 메뉴에 어울릴 만한 대중적인 와인들이 대부분.
34. 소믈리에 (Sommelier)
레스토랑에서 요리와 어울리는 와인을
추천하고 서빙하는 일을 하는 사람을 의미한다.
와인리스트 작성, 구매, 보관, 추천 및 서빙까지
전문적으로 하는 사람이다.
35. 콜키지 (Corkage)
이는 코르크 차지(Cork Charge)의 줄임말이다.
이는 레스토랑이나 음식점에서 손님들이 직접 와인 또는 주류를 가져와
마실 수 있게 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콜키지가 가능하다면 레스토랑마다 오프너, 잔 등이 제공되는지 미리 알아보고 가야 한다.
추가 비용이 없는 경우 '콜키지 프리'라고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