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터디/Wine

[와인 공부] 와인 용어 이해하기 1편 - 이 정도만 알아도 아는 척 가능(포도 품종, 와인라벨 글자의 의미)

by 보들송이 2020. 9. 8.
반응형

와인은 같은 브랜드라도 모두 다르고, 사람마다도 다르다.
따라서 느낌을 이해해야 한다.

와인을 공부하기 전에 알아둬야 하는 사실이라고 합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여러분들처럼
저도 얼마 전에 우연히 와인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책이나 유튜브 등을 찾아보며
와인 용어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
이 정도만 알아도 어느 정도 아는 척은 가능할 거라고 생각하며,
포스팅 시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떼루아

뗴루아는 와인의 원료가 되는 포도를 생산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기후, 날씨, 토양 등의 조건을 통틀어 말한다.
포도는 뗴루아의 영향을 받기에 맛이 달라진다.

 

2. 와인 포도 품종 - 레드와인 품종

1) 까베르네 소비뇽 (Cabernet Sauvignon)

프랑스 보르도 지방의 메독이 원산지인 포도 품종입니다.
고기와 잘 어울리고, 무게감(바디감)이 있고, 타닌이 많아 드라이한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 만큼 강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프랑스, 미국, 칠레 등이 유명

2) 메를로 (Merlot)

까베르네 소비뇽보다 타닌 성분이 적은 적포도 품종입니다.
그런만큼 좀 더 부드럽고 마시기 쉬운 품종이며, 선택하면 실패할 확률이 적습니다.
그런 만큼 많은 음식들에 두루두루 어울립니다.
바디감은 미디움이나 풀 바디가 특징입니다.
프랑스, 미국, 칠레 등이 유명

3) 피노누아 (Pinot Noir)

섬세하고 여린 포도 품종으로, 고급 레드와인용 포도품종입니다.
부드러운 와인으로 느껴집니다. 까베르네보다는 부드럽고 섬세하기에 맛있기도 합니다.
세계에서 가장 비싼 와인 로마네 꽁띠의 포도 품종이기도 합니다.
그만큼 비싼 와인이 많습니다.
프랑스, 미국 등이 유명

4) 템프라니요 (Tempranillo)

스페인 리오하 와인을 만드는 주요 적포도 품종입니다.
까베르네 소비뇽과 마찬가지로 타닌이 많아서 드라이합니다.
스트로베리, 정향 등의 붉은 과일류의 향이 풍부해서 마시기 좋음.
바디감이 있어 고기와 잘 어울립니다.
보통 알코올 함량이 많은 경우가 많습니다.
스페인 등이 유명

5) 말벡 (Malbec)

타닌이 많아 드라이합니다. 
블랙베리와 같은 검은 과실처럼 보이며, 
고기와 잘 어울리며, 바디감이 있음.
아르헨티나 대표 품종

6) 쉬라즈 (Shiraz)

프랑스에서는 시라라고 하고, 호주에서는 쉬라즈라고 불립니다.
단맛이 강하고 과즙량이 많습니다.
또한 타닌 성분이 많아 드라이하지만 높은 장기 숙성력으로
숙성이 진행되면 부드러워지며 마시기 편한 와인이 많아 대중적입니다.
검은 과실로 색깔이 진하고 흑후추, 초콜릿 계열의 향이 특징입니다.
프랑스, 호주 등이 유명

7) 까르미네르 (Carmenere)

칠레의 대표 품종 중 하나로, 과실향이 풍부하고 바디감이 있어 실키한 와인입니다.
스파이시한 향과 끝맛이 있고 적당한 신미가 있습니다.
대중적으로 마시기 좋고, 바베큐 요리와 궁합이 잘 맞습니다.
칠레가 유명

 

3. 와인 포도 품종 - 화이트와인 품종

1) 샤르도네 (Chardonnay)

샤도네이라고도 불리며, 화이트 와인 품종의 여왕일 정도로 유명합니다.
과실향이 많고 오크 숙성이 가능해 가벼운 와인부터 무거운 와인까지, 스펙트럼이 넓습니다.
그만큼 다양한 음식과 어울리고 대중적으로 사람들이 좋아함.
프랑스 부르고뉴, 미국, 칠레 등이 유명

2)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샤르도네보다는 바디감이 적고, 산도가 높은 편입니다.
즉 상쾌하게 마실 수 있습니다.
프랑스, 미국, 뉴질랜드 등이 유명

3) 리슬링 (Riesling)

소비뇽 블랑과 마찬가지로 샤르도네보다는 바디감이 가볍고 산도가 높은 편입니다.
가볍고 시원하게 마시기 좋습니다. 또 색이 연한 와인이 많습니다.
프랑스, 독일 등 유명

4) 모스카토 (Moscato)

화이트 와인 품종 중에 향이 풍부하고 알코올 도수가 낮은 편입니다.
스파클링 와인이 많고 달콤하고 순하며 부드러운 와인으로 향도 매우 강합니다.
모스카토 다스티 (Moscato d'Asti) 같은 대표적 와인이 있음.
이탈리아가 유명

 

4. 블렌딩

2가지 이상의 포도품종들을 혼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부분의 와인은 하나의 품종으로만 만들지 않습니다.
좋은 품질, 맛있는 와인을 위해 포도 품종을 섞어서 와인을 만들기도 함.
이를 '블렌딩'이라고 표현함.
조화로운 블랜딩을 통해 와인의 특징을 이상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보르도 지역의 와인이 블렌딩이 굉장히 유명하고 전통적이라 보르도 스타일이라고 불리기도 함.

 

5. 포도 품종 재배 지역

전 세계적으로 굉장히 많지만, 많이 접하게 되는 지역들 위주로 말씀드리면

1) 프랑스 보르도

까베르네 소비뇽을 포함한 여러 품종을 블렌딩한 와인들이 유명합니다.

2) 프랑스 부르고뉴.

피노누아, 샤르도네로 유명합니다.

3) 프랑스 샹파뉴

샹파뉴 지방에서 만드는 스파클링 와인만을 일컬어 샴페인이라 합니다.
다른 지역은 그냥 스파클링 와인이라고 합니다.
그런 만큼 샴페인으로 굉장히 유명합니다.

4) 스페인 리오하.

템프라니요로 유명합니다.
스페인의 유명한 전통 와인 산지입니다.
다른 품종들과 블렌딩하여 만드는 경우도 많습니다.

5) 이탈리아 피에몬테.

이탈리아 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네비올로 품종을 활용한 와인들이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바롤로 와인, 바르바레스코 와인이 유명합니다.

6) 이탈리아 토스카나

이탈리아 중부에 위치하며, 산지오베제 품종을 활용한 와인들이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끼안티, 끼안티 클라시코 와인이 해당합니다.

7) 미국 나파밸리

미국 와인 산업의 상징적인 곳으로서, 수많은 와이너리가 위치하고 있습니다.

8) 호주

쉬라즈 품종 와인이 유명하며 이 뿐만 아니라 다양한 와인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9) 뉴질랜드

소비뇽 블랑 품종 와인이 유명하고, 신선하고 상쾌한 와인이 많이 나옵니다.

10) 칠레

까베르네 소비뇽, 까르미네르 품종 와인이 유명하며, 가성비 좋은 와인들이 많습니다.

11) 아르헨티나.

말벡 품종으로 만든 와인이 유명하며, 칠레와 마찬가지로 가성비 좋은 와인들이 많습니다.

 

6. 와이너리

와이너리는 포도로 와인을 만드는, 양조장을 말합니다.
와이너리 투어가 있을 정도로 멋진 공간들이 많습니다.

7. 와인 메이커

와이너리에서 와인을 만드는 생산자를 일컬어 말한다.
대표적으로 로버트 몬다비 와인메이커가 있다.
메이커의 가치관, 철학, 기술에 따라 맛이 달라진다.

8. 오크

오크는 와인을 숙성시키는 통이다.
숙성 기간과 온도, 방법, 오크 종류에 따라 향과 맛이 달라진다.
바닐라 향, 구운 토스트 향, 오크 향등이 와인에 생겨난다.

9. 숙성

포도를 발효시키는 숙성 과정이 필요한데, 와이너리나 와인 메이커에 따라 달라진다.
기간, 방식(오크, 스테인리스)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숙성한다.

10. 병입

와인을 병에 담는 것을 의미한다.
숙성이 모두 끝난 후 병입하거나, 병입 후 추가로 숙성하는 경우도 있다.

11. Mis En Bouteille Au Chateau

이는 '샤또에서 병입했다'라는 뜻이다.
즉, 포도 재배부터 병입까지 모든 과정을 샤또(와이너리, 포도원)에서 했다는 의미이다.
이는 와인의 품질을 인증하는 문구이기도 하다.

12. 라벨

와인 라벨, 와인 레이블이라고도 한다.
와인의 정보를 담고 있는데, 이름, 포도 품종, 빈티지, 와인 메이커가 담고자 하는 정보들이 담겨 있다.

13. ALC

와인에 함유된 알코올 도수를 말한다.

14.  A.O.C

Appellation d'Origine Controlee의 줄임말이다.
프랑스에서 실시하는 '원산지 명칭 통제' 제도라고 할 수 있다.
품질 관리 제도라고 할 수 있는데, 이 등급을 받기 위해서는 까다로운 절차가 있기에
소비자에게 높은 품질을 보장한다고 할 수 있다.
Appellation [d'Origine] Controlee 디 오리진에 해당하는 지역이 좁을수록
더 세심하고 철저하게 관리가 된다고 볼 수 있고, 고급와인일 확률이 굉장히 높다.
ex) 아펠라시옹 부르고뉴 꽁뜨렐레 < 아펠라시옹 샤블리 꽁뜨렐레 (지역이 좁을수록!)

15. 샤또

그 유명한 샤또딸보

샤또(Chateau)는 성(Castle)이라는 뜻인데,
예전에는 성에서 포도를 재배하고 와인을 만들었기에 샤또라는 이름이 쓰임.
즉, 와인 라벨이나 이름에 있는 샤또는 와이너리, 포도원 등으로 해석하면 됨.

16. 빈티지

빈티지는 포도의 수확 연도를 말함.
(만들어진 연도가 아닙니다)
빈티지가 적혀있지 않거나 없을 경우 여러 해에 걸쳐 수확한 포도가 섞여있을 경우가 높음

17. 리제르바, 리저브, 그랑 리제르바

와인의 숙성 정도를 표기한 것으로,
리제르바는 몇 년 이상, 그랑 리제르바는 추가로 몇 년 이상 숙성
나라에 따라 기준이 다르기 떄문에 표기가 안 되어있는 경우, 그냥 표기되어있는 경우도 있음.
즉 간판에 '맛집'이라고 쓴 것 처럼, 참고만 하고 절대적으로 생각하면 안됨.

18. 비노(Vino), 뱅(Vin)

포도주, 와인이라는 의미.

19. 브뤼 (Brut)

샴페인이나 스파클링 와인에서 드라이한, 즉 단 맛이 없는 와인이다.
대개 스파클링 와인에서 많이 사용된다. 

20. 크뤼 (Cru)

크뤼는 포도를 생산하는 포도원, 또는 와인 생산지의 포도밭 구획을 의미함.
고품질 구획으로는 그랑 크뤼(Grand Cru), 프리미에 크뤼(Premier Cru) 등이 있음.

21. 부쇼네 (Bouchonne)

불량 코르크로 인해 변질된 와인을 의미함.
즉 곰팡이에 코르크가 오염되어 맛이 변질된 것을 말함.
와인을 관찰하고 마셔보는 방법.

반응형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