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필승!
먹어말어할땐먹어입니다
여러 기술적 분석과 관련된 책을 보는데
말이 너무 어렵게 되어 있어 핵심적인 부분을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를 해보려 합니다.
1. 파동이론의 발견
1930년, 넬슨 엘리어트는 주가가 파악 가능한 패턴에 따라 움직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그는 반복적으로 보이는 13가지 패턴 또는 파동을 발견했고,
이름과 정의, 그리고 설명을 덧붙였다.
또 그는 13가지 패턴들이 결합하여 형태는 같지만 규모는 더 큰 패턴을 형성한다는 점을 알았다.
그리고 엘리어트는 이 현상에 대해 '파동이론'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2. 파동이론의 의미
파동이론은 사실 주가예측도구는 아니다.
이는 시장 행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방법론으로서, 시장이 지금 어느 위치에 있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나아갈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돕는다.
즉, 이는 주가를 분석하기 위한 맥락을 제공한다.
물론 잘못된 방법으로 지수를 분석하여 같은 엘리어트 파동이론으로 접근했음에도
시장의 상황을 다르게 해석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산술 척도, 반로그 척도에 따라 분석하고
규칙을 다시금 복기한다면 대부분의 오류를 제거할 수 있다.
3. 파동이론의 기본 원칙
의미 있는 정보가 시장의 결정을 만들고,
시장의 결정은 의미 있는 정보를 만든다.
이때 시장은 외부의 조건과 사건을 반영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완전히 분리되어 움직인다.
즉 뉴스에 의해 주가가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주가는 뉴스와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파동의 움직임이다.
반응형
댓글